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암의 병기

  • 요약병기(SEER)
    • 요약병기란
    • 요약병기범주
    • 일반적인 지침
    • 세부 지침
    • 병기결정법
  • 협력병기(CS)
    • 협력병기란
    • 일반 지침
    • T 범주
    • N 범주
    • M 범주
    • 부위특이요인
  • 그외 병기
    • AJCC Staging System
    • 결장과 직장병기
    • 전립선 병기
    • 부인과 병기
    • 흑색종 병기
    • 림프종 병기
    • 간 병기

전립선 병기

전립선병기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합니다.

home > 암의병기 > 그외병기 > 전립선 병기

전립선암에서는 2개의 병기시스템이 흔히 사용된다. 대부분의 병원에서 사용되는 병기시스템은 TNM system이다. 그러나 몇몇 병원 및 의사들은 Jewett staging system을 사용하기도 한다. Jewett staging system (Whitmore-Jewett system)은 Whitmore가 1956년에 개발하여 Jewett에 의해 1975년에 변형되어 현재는 수정된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. 1997년 미국 암협회(AJCC) 및 국제 암연합(IUAC)는 개정된 TNM system을 채택하였다.

  • A :Clinically undetectable tumor confined to the prostate gland and is an incidental finding at prostatic surgery
    • A1 :The tumor is well-differentiated with focal involvement and usually left untreated
    • A2 :The tumor is moderately or poorly differentiated or involves multiple foci in the gland
  • B :The tumor is confined to the prostate gland
    • B0 :Non palpable and PSA detected
    • B1 :Single nodule in one lobe of the prostate
    • B2 :More extensive involvement of one lobe or involvement of both lobes
  • C :The tumor clinically localized to the periprostatic area but extending through the prostatic capsule; seminal vesicles may be involved
    • C1 :clinical extracapsular extension
    • C2 :Extracapsular tumor producing bladder outlet or ureteral obstruction
  • D :The tumor has spread to other organs
    • D0 :Clinically localized disease (prostate only) but persistently elevated enzymatic serum acid phosphatase titers
    • D1 :Regional lymph nodes only
    • D2 :Distant lymph nodes and metastasis to bone or visceral organs
    • D3 :D2 prostate cancer patients who relapsed after adequate endocrine therapy